매일매일/500자 글 하나

킹덤과 이태원클라쓰, 충분히 즐길 수 있었던 이유

얼음조각 2020. 4. 12. 00:41

- 믿고 기대하는 <킹덤> 시즌3

 

NETFLIX <킹덤> 시즌2 포스터

좀비가 등장하는 드라마, 자칫 좀비가 내는 괴성과 물어뜯고 칼로 찌르는 소리로 채워지며 이야기를 이해하기 어려울 수 있었다. 

“좀비가 물어뜯고 움직일 때 나는 관절 꺾이는 소리가 좀 징그러웠다.”

이런 인상만 남기고 시즌1도 다 보지 않았을 수 있다. 하지만, 좀비가 날뛰고 전투가 벌어지고 어떤 내용의 문서가 유생들 사이에서 돌았는지까지 화면 해설을 들으며 떠올리고 알 수 있었다. 

NETFLIX 오리지널 콘텐츠로 제작되는 작품이라 시즌 3도 화면 해설이 포함될 게 분명하다. 킹덤 시즌 3을 걱정 없이 기대하게 되는 이유다.

 

- 박새로이 머리 스타일이 밤톨 모양인 걸 알 수 있었던 <이태원 클라쓰>

 

JTBC 드라마 <이태원 클라쓰> 포스터

종영한 뒤에 NETFLIX에서 몰아본 드라마다. 몰아보기 할 드라마로 이태원 클라쓰를 선택한 건 재밌다는 이야기를 들어서가 아니다. NETFLIX에서 한국어 음성 설명이란 키워드로 검색했을 때 나온 드라마였기 때문이다. 조이서라는 캐릭터 매력에 설렜고, 마현희라는 캐릭터는 함께 하고 싶은 사람이었다. 특히 12화에서 마현희의 커밍아웃과 박새로이를 포함한 동료들이 보인 반응은 정말 인상적이었다.

 

- 아직 부족하기만한 화면 해설 콘텐츠

 

NETFLIX에서 한국어 음성 설명을 키워드로 검색하니 드라마와 영화 포함 총 30개가 나왔다. 물론 드라마는 에피소드 하나를 콘텐츠 하나로 계산해야 한다고 할 수 있지만, 에피소드가 하나든 열이든 드라마는 한 편이라고 보는 게 상식적이다. 

 

장애인방송 편성 및 제공 등 장애인 방송접근권 보장에 관한 고시 - https://is.gd/mgvlLt 

 

국가법령정보센터 | 위임행정규칙

 

www.law.go.kr

방송법 69조는 화면 해설과 수어 및 자막 방송 프로그램 편성 의무를 규정하고 있다.

 

제69조(방송프로그램의 편성등) 

⑧ 방송사업자는 장애인의 시청을 도울 수 있도록 한국수어ㆍ폐쇄자막ㆍ화면해설 등을 이용한 방송(이하 "장애인방송"이라 한다)을 하여야 한다. 이 경우 방송통신위원회는 방송사업자가 장애인방송을 하는 데 필요한 경비 및 장애인방송을 시청하기 위한 수신기의 보급에 필요한 경비의 전부 또는 일부를 「방송통신발전 기본법」 제24조에 따른 방송통신발전기금에서 지원할 수 있다.  <개정 2011. 7. 14., 2013. 3. 23., 2014. 5. 28., 2016. 2. 3.>

 

 이 법에 따라 화면 해설과 수어 그리고 자막을 포함한 프로그램을 누가 얼마나 편성해야 하는지 구체적인 내용은 별도로 고시하고 있다.

 

 장애인방송 편성 및 제공 등 장애인 방송접근권 보장에 관한 고시 - https://is.gd/xvTJ7R 

 

국가법령정보센터 | 행정규칙 > 본문

 

www.law.go.kr

장애인 방송 편성 비율 기준

방송 시간을 기준으로 화면 해설 등 장애인 방송 편성을 규정하고 있다. 방송 사업자에게 비교적 제작하기 쉬운 단조로운 콘텐츠에 화면 해설이나 수어 통역을 제공하고 싶게 만드는 건 아닐까? 제작하는 프로그램 시청 비율에 따라 장애인 방송 프로그램 편성도 콘텐츠별 제작 비율을 규정하면 어떨까 생각해 본다. 

NETFLIX 대항마로 나선 왓차 플레이, 한국 콘텐츠가 NETFLIX 보다 많이 제공된다는 게 강점일 텐데 화면 해설이나 자막 같은 지원은 어떤지 모르겠다. 잠깐 설치하고 썼을 땐 앱 접근성이나 콘텐츠 접근성 모두 NETFLIX에 못 미쳤는데…

 화면 해설 등 장애인 방송 편성 비율을 점진적으로 높이고, 전체 콘텐츠 시청 비율 등을 반영해 장애인 방송 편성이 다양하게 이루어질 수 있도록 장애인 방송 접근권 보장 고시가 개정되면 좋겠다.